본문 바로가기

강성태 영어 문법

챕터 10) 상관 접속사, 병렬 구조

(등위) 상관 접속사

서로 떨어져 있는 두 개의 어구가 하나의 등위 접속사 역할을 하는 것을 말한다.

일반적인 등위 접속사와 마찬가지로 문법적으로 대등한 문장 성분을 연결한다.

 

both A and B : A,B 둘다

either A or B : A,B 둘 중 하나

neither A nor B : A,B 둘 다 아닌

not A but B : A가 아니라 B인

not only A but (also) B : A뿐만 아니라 B도

B as well as A : A 뿐만 아니라 B도

 

as well as 는 문법 범주상 부사에 속하지만, 상관 접속사 처럼 가능합니다.

 

병렬 구조

문장 내에서 문법적으로 대등한 문장 성분이 반복되는 것을 병렬 혹은 병렬 구조 라고 한다.

참고)

to부정사와 to부정사, 명사와 명사, 절과 절 등 역할과 형태가 서로 대등한 어구가 반복된다.

 

병렬을 이루는 각각의 문장 성분은 접속사 또는 콤마(,)로 연결된다.

 

병렬구조가 쓰이는 상황 4가지

1) 불필요한 중복을 피한다.

I like hiking. I like camping -> I like hiking and camping.

 

2) 비슷하거나 대비되는 두 내용을 연결한다.

The car not only is economical but also feels comfortable.

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동사구와 동사구 연결

3) 비교 구문을 만든다.

He is older than i am

He is 와 I am 을 비교

 

4) 목록을 나열한다.

There are roses , tulips  and daisises.

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성질이 비슷한 명사를 나열